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클레오파트라, 미와 지성을 넘은 신화의 여왕
    아프리카_Africa/이집트_Egypt 2024. 8. 8. 23:40
    728x90
    반응형

    클레오파트라 무덤의 가능성을 찾아 간 곳은 발굴의 흔적만 있고 인부들은 보이지 않았다. 사람들은 왜 그렇게 클레오파트라의 무덤을 찾으려고 할까? 클레오파트라는 세계적인 로맨스로 유명하다. 그녀의 매력이 무엇이었을까?

     

    클레오파트라(Cleopatra)의 미학적 신화

    클레오파트라는 미의 여왕으로 희자된다. 그녀가 얼마나 아름다웠는지를 묘사하는 문헌을 많이 볼 수 있다. 클레오파트라를 세계 최고의 미인으로 만든 근원이 그녀의 지성이 아니었을까 생각해본다.

     

    클레오파트라의 매력: 로맨스와 지성으로 만든 신화

    클레오파트라는 여성에 대한 교육이 금지된 시대에 고도의 교육을 받는 특권을 가졌다. 미와 지성이 겸비된 여왕은 누구와도 견줄 수 없었을 것이다.

    보르도의 Musée d'Aquitaine 박물관 전시작

     

     

    고도의 교육을 받은 클레오파트라 
    클레오파트라는 모국어 그리스어를 사용했지만 이집트어, 아랍어, 시리아어 그리고 히브리어를 포함한 여러 다른 언어를 구사했다. 또한 법정을 자주 방문한 당대 학자들을 통해 어린 나이에 정치, 철학 및 과학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터득할 수 있었다.

     

    클레오파트라의 매역에 대해 묘사된 문헌들을 볼 수 있다.

     

    로마의 역사가 Cassius Dio

    카시우스 디오(Cassius Dio)는 그녀를 상당한 매력을 지닌 아름다운 여왕으로 묘사한다. 
    “그녀를 바라보는 것은 황홀했고 그녀의 말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았다. 그녀는 모든 사람이 이익을 얻기 위한 방식으로 대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었다.”

     

    그리스 역사가 플루타크(Plutarch)

    클레오파트라와의 상호작용은 매혹적이었고 그녀의 외모, 토론에서 그녀의 설득력과 모든 대화에서 빛나는 성격은 자극적이었다."라고 그리스 역사가 플루타크(Plutarch)는 극찬한다. "그녀의 목소리도 즐거웠고 그녀의 혀는 다재다능한 악기를 연주하는거 같았다.“

     

    클레오파트라 동전

    클레오파트라 외모의 극적인 아름다움에 대해 의구심을 갖게 하는 것이 있는데 그녀 통치 시대에 발행된 동전이다. 동전이 보여주는 큰 눈과 튀어나온 듯한 턱선 그리고 크고 구부러진 코를 가진 여성이라면 그렇게까지 아름답지 않았을 것이라는 견해이다. 대신 그녀의 실제 매력은 지성적 매력에 기반을 두었을 것이다.

    기원전 36년경 클레오파트라의 초상화. 안티오크에서 주조된 주화. ArchaiOptix / CC-by-sa 4.0

     

    클레오파트라의 매혹적인 미학과 세계적인 로맨스

    안토니우스는 고대 로마 권력의 정점에 섰던 정치가이자 군인이었으나 클레오파트라와 사랑에 빠지면서 로마의 권력투장에서 밀려났다. 기원전 31년 ‘악티움 해전’에서 후일 로마 최초의 황제에 오른 옥타비아누스(Octavianus)에 패하고 이듬해 옥타비아누스의 포위망이 좁혀오면서 안토니우스가 칼로 자살하자 클레오파트라는 코브라가 가슴을 물게 하여 자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치적 전략과 사랑 

    기원전 48년 클레오파트라는 동생 프톨레마이오스 13세와 시리아에 망명 중일 때 줄리어스 시저(카이사르, Julius Caesar)가 이집트로 들어오게 된다. 카이사르가 두 형제에게 프톨레마이오스 12세의 유언을 이행할 것을 촉구하고 두 형제의 공통규칙을 확립하지만 클레오파트라는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녀는 자신을 침대 자루에 숨겨 카이사르 앞으로 밀반입 시키고 이후 카이사르의 연인이 되고 우리가 잘 아는 세계적인 로맨스가 탄생된다. 

     

    기원전 47년 1월 프톨레마이오스 13세에 대항하는 전쟁에서 승리 후 클레오파트라가 이집트의 파라오가 된다. 같은 해 카이사르와의 사이에서 아들이 태어나고 카이사리온(Caesarion)이라고 이름 지었다. 

     

    기원전 46년 클레오파트라는 카이사르를 따라 로마로 가는데 로마의 도서관 건축, 율리우스력과 마찬가지로 알렉산드리아 학자들에 영향을 주게된다. 카이사르 죽음으로 클레오파트라는 로마에서 영향력을 잃고 이집트로 돌아간다.

     

    클레오파트라 7세 필로파토르(Cleopatra VII Philopator) 

    클레오파트라 7세(기원전 69년 - 기원전 30년 8월 10일, 재위: 기원전 51년 ~ 기원전 30년)는 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의 여왕이자 마지막 통치자였으며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알렉산드로스 3세의 동료)의 후손이다. 

     

    클레오파트라 죽음 이후 이집트는 로마 제국의 속주가 되었으며 이것은 제 2의 헬레니즘 국가와 알렉산드로스 3세의 통치 이후 지속된 시대의 종말을 의미한다. 클레오파트라는 이집트어를 배운 유일한 프톨레마이오스 군주였으며 그녀의 모국어는 코이네 그리스어였다.

     

    클레오파트라 (Queen of the Ptolemaic Kingdom of Egypt)

    클레오파트라는 기원전 69년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의 알렉산드리아에서 출생하여 기원전 30년 39세의 나이로 죽음을 맞게 된다. 키가 152cm으로 그 시대 평균 여자의 키였으며 페르시아인과 여러 민족의 피가 섞인 인종이어서 역사학자들은 그녀가 이국적인 아름다움을 갖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집트의 여왕이지만 혈통으로는 그리스인에 가까웠고 외모도 전형적인 그리스인의 모습이었다고 전해진다. 전체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 마찬가지로 클레오파트라는 순수한 이집트인이 아니라 마케도니아 혈통이었다.

    보르도의 Musée d'Aquitaine 박물관 전시작

     

    프톨레마이오스 13세와 공동 통치 

    클레오파트라의 아버지 프톨레마이오스 1세 아울레테스가 죽자 기원전 51년부터 남동생 프톨레마이오스 13세와 공동 통치가 시작되었지만 남매 사이의 갈등으로 내전이 발생한다.

    클레오파트라 (사진출처: 네이버)

     

    그리스로마 신화 속 여인 

    클레오파트라(Cleopatra)는 고대 그리스 중부에 위치한 로크리스 지역의 명문가 출신 처녀이다. 로크리스인들이 인간 제물로 ‘일리온’의 아테나 신전으로 보낸 최초의 두 명의 처녀 중 한명의 이름이 클레오파트라이며 다른 한 명은 ‘페이보이아’이다. 일리온의 고대 그리스어 명칭은 ‘트로이아’이다. 

     

    로크리스의 왕자 아이아스가 저지른 아테나 여신에 대한 신성모독에 대한 속죄로 로크리스 사람들은 여신의 노예로 삼을 두 명의 처녀를 매년 일리온으로 보낸다. 신탁에 따라 로크리스 명문가 출신의 처녀들 중 제비로 두 명을 뽑아 아테나 신전으로 보낸 것으로 ‘인간 제물’로 해석될 수 있다.

     

    아이아스의 신성모독 

    트로이아가 함락되었을 때 로크리스의 왕 오일레우스의 아들 아이아스가 아테나 여신의 목상을 안고 있던 트로이아의 공주 카산드라를 강제로 범하는 과정에서 신성모독죄를 저지른다. 로크리스에 전염병과 흉년으로 괴로움을 당하자 아테나 여신의 노여움을 풀기 위해 인간제물을 보내기 시작했고 천 년이 지난 포키스 전쟁 이후 더 이상 보내지 않는다.

     

    클레오파트라의 무화과

    클레오파트라의 매력과 아름다움에 대해 언급한 많은 문헌들을 볼 수 있다. 이들 중 흥미를 끄는 하나가 클레오파트라가 무화과를 즐겨먹었다는 것이다.

     

    클레오파트라가 '무화과(Fig Tree)'를 즐겨 먹은 이유: https://sj-garden.tistory.com/69

     

    클레오파트라가 '무화과(Fig Tree)'를 즐겨 먹은 이유

    과실류인 무화과의 독특한 맛과 향을 무척 좋아해서 무화과 철이 되면 거의 매일같이 하루 3~4개씩 먹는답니다. 한국에서 작은 상자에 1만 5천원 정도 하는데 일주일에 3~4번 사먹게 되면 지갑이

    sj-garden.tistory.com

     

     

    728x90
    반응형
    LIST
Designed by Tistory.